[한라일보] 올 1월 말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제주도의 인구가 66만 9460명으로 5년 만에 67만명을 밑돌았다. 2023년 말 기준 도내 43개 읍면동 중 절반가량인 22개 읍면동이 인구감소 위험 지역으로 분석된 결과가 발표됐다. 읍면동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발전 전략 등 지역별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연구원의 제주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에서 공개한 '2023년도 제주 지역 읍면동별 인구감소위험 수준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애월과 조천, 대정읍을 제외한 모든 읍면이 인구감소 위험지역으로 나타났다. 추자면과 우도면 등 부속 섬은 물론 성산, 구좌, 남원읍 등은 인구감소 고위험지역으로 나타났다. 동지역은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구도심이 상대적으로 인구감소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연구원은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균형 발전 차원에서 정책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제주도와 제주연구원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인구문제의 해법을 찾는데 애를 쓰고 있다. 다만 성과가 없어 아쉬울 따름이다.
제주도는 이번 분석을 토대로 지역 특성을 고려한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지역 균형 발전사업 공모 시 가점 부여 등을 통해 지역별 특화 발전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연구원의 제언에 힘을 실었다. 인구감소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 조사는 필요하다. 읍면동 지역별 맞춤형 정책도 마련되면 금상첨화다. 핵심은 정부 차원의 확실한 해법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일자리, 출산장려, 정주여건, 교육지원, 사회적 분위기 조성 등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