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images/gisaimg/202502/13_768247.jpg)
12일 오후 7시56분쯤 서귀포 표선면 해상에서 10명이 탄 어선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해 3명이 실종됐다. 사진은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는 해경. 서귀포해경서 제공
서귀포해상에서 2066재성호가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해 승선원 10명 중 2명이 숨지고 3명이 실종됐다. 실종자를 찾기 위한 수색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해경은 수사본부를 꾸리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13일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7시56분쯤 서귀포 지귀도 동방 12㎞ 해상에서 32t급 서귀포 근해연승어선 '2066재성호'(이하 재성호)의 초단파무선전화(VHF-DSC) 긴급구조 신호가 수신됐다. 발신자는 선장으로 당시 비명이 들린 뒤 10초도 안 돼 신호가 끊긴 것으로 전해졌다.
출입항관리시스템상 재성호에는 한국인 6명과 베트남인 3명, 인도네시아 1명 등 10명이 타고 있었다. 사고 직후 한국인 선장 50대 B씨와 외국인 선원 4명 등 5명은 해경에 의해 구조됐다.
사고 이틀째인 13일 오전 9시57분쯤 실종 상태였던 한국인 C씨가 사고 해역으로부터 남동쪽으로 약 11㎞ 떨어진 해상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이로부터 약 2시간 뒤인 낮 12시19분쯤에는 선실에서 한국인 D씨가 추가로 숨진채 발견됐다. 이로써 이번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2명이 됐다. 남은 실종자는 3명으로 모두 제주도민이다.
구조 신호를 받은 해경은 인근에서 경비 중이던 함정을 급파했다. 해경 경비함정은 최초 신고 접수 후 4분 만에 현장에 도착했지만 이미 재성호는 뒤집혀진 상태였다.
재성호 전복 원인으로 볼 만한 가능성 중 하나로 강한 너울성 파도가 꼽히고 있다. 당시 사고 해역에는 풍랑주의보가 발효된 상태로 초속 18~20m의 강풍과 3m 높이의 물결이 일었다. 이와 같은 기상 악화로 인해 해경은 사고 당일인 12일 오후 2시쯤 조업에 나간 30t 미만 어선들을 상대로 조기 입항을 유도하기도 했다.
배는 파도와 급격한 조류 변화 등으로 인해 선체가 한쪽으로 기울어져도 다시 무게 중심을 잡고 원래 자리로 되돌아오는 복원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복원력 회복 전에 강한 파도를 재차 맞게 되면 빠르게 뒤집힐 수 있다고 해경은 설명했다.
해경에 따르면 현재 수면 위로 올라와 있는 선체 일부를 살펴본 결과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한 파손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재성호는 지난 10일 오전 9시 56분쯤 갈치 조업을 위해 서귀포항에서 출항했다. 재성호는 이날 조업을 위해 동쪽해상으로 향하던 중 사고를 당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경 관계자는 "구조된 선장으로부터 '선체 우현으로부터 침수가 시작됐다'는 짧은 진술을 확보한 상황이다"라면서 "자세한 사고 원인은 선장 건강이 회복 된 후 조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해경은 현재 수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고 이틀째인 13일에는 해경 함정과 어선 24척, 항공기 7대가 사고 해역을 중심으로 수색 중이다.
육상 해안가에서도 해양경찰 18명 등이 동원돼 수색을 벌이고 있다.
또 사고 수습을 위해 서귀포시 어선주협회에 현장상황실이 설치됐으며, 서귀포시 재난안전대책본부 및 재난현장통합지원본부가 가동 중이다.
해경은 13일 제주해경청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앞으로 사고해역 기상상황이 지금보다는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면서 "선내 잔류와 해상 표류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색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해양경찰청은 최근 제주해역 뿐만 아니라 도외 해역에서도 선박 사고가 잇따르며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내달 15일까지 '해양안전 특별경계'를 발령해 집중 안전관리 활동에 나선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