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영화에 7년 쏟은 '육지 사람'… "영원히 말해져야"

4·3영화에 7년 쏟은 '육지 사람'… "영원히 말해져야"
17일 개봉 다큐멘터리 영화 '돌들이 말할 때까지'
김경만 감독 "할머니들 이야기 영화로 남았으면"
7년간 혼자 촬영·편집… 또 다른 4·3영화 계획 중
  • 입력 : 2024. 04.14(일) 15:17  수정 : 2024. 04. 16(화) 09:43
  • 김지은기자 jieun@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지난 11일 CGV제주에서 만난 김경만 감독.

[한라일보] "감옥에 와서야 이제야 살았구나 싶었지." 스무 살 즈음에 겪었던 제주4·3은 감옥보다 더한 지옥이었다. "총 맞아 죽는 건 행복"이라고 떠올릴 수밖에 없는 것은, 지금도 잊을 수 없는 끔찍한 학살의 기억 때문이다.

오는 17일 개봉을 앞둔 다큐멘터리 영화 '돌들이 말할 때까지'는 76년 전, 4·3 당시로 관객을 데려간다. 당시 18~22세였던 양농옥, 박순석, 박춘옥, 김묘생, 송순희 할머니의 '증언'을 통해서다.

다섯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영화로 꺼내놓은 김경만 감독은 '육지 사람'이다. 2016년 촬영을 시작한 작품을 7년여 만에 선보이는 그는 "할머니들의 이야기가 최소한 영화로 남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만들었다. 최소한의 목표는 달성한 것 같다"고 담담히 말했다.

영화 '돌들이 말할 때까지' 스틸컷.

시작은 '운'이었다. 김 감독은 "운이 좋게 4·3에 관한 촬영을 시작하게 됐다"고 했다. 육지사는제주사람이란 단체가 개최한 강연을 촬영하러 갔다가 4·3도민연대와 인연이 닿았다.

"도민연대 대표님이 4·3수형인 조사를 하고 있는데 '촬영할 사람이 필요하다, 그 촬영을 통해 다큐멘터리를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연락을 주셨어요. 저도 같은 생각이었으니 흔쾌히 승낙을 하고 시작하게 된 거죠. 사실 이전부터 4·3에 대한 영화를 만들고 싶었어요. 제 생각에 4·3은 한국 현대사의 어떤 출발이라고 생각되는데, 2010년도만 해도 그것에 대해 아는 사람은 너무나 적었죠. 4·3이 굉장히 중요한 일이고, 사람들에게 알렸으면 하는 마음이 들었던 것 같아요."

선뜻 시작했지만 쉽지 않은 작업이었다.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의 긴 사건을 풀어내는 것 자체가 "간단하지 않은 일"이었다. '국가폭력'과 '항쟁'의 구도로만 인식하던 4·3 깊숙이 놓인 여러 이야기들에 "복잡하고 무거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고 김 감독은 말했다.

"처음에는 항쟁을 했던 사람들에 의해서도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는 것이 충격적이었어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폭력과 동등한 선상에서 비교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사람들이 (이 영화를 통해) 알았으면 하는 이야기는 국가가 자행했던 일이 어떤 이유에서든 정당화될 수 없다는 거예요. 제가 생각해도 그건 너무나 분명한 사실이기에 그걸 전달하고 싶었던 거죠."

'돌들이 말할 때까지' 스틸컷.

100분간의 러닝타임 동안 영화는 다섯 할머니의 입을 통해 제주4·3을 말한다. 무슨 죄인 지도 모른 채, 심지어 재판을 받지도 못한 채 전주형무소로 보내져 감옥살이를 해야 했던 할머니들의 비극이 당시의 아픔을 고스란히 전한다. 촬영부터 편집까지 도맡은 김 감독은 그저 '관찰자'처럼 화면 밖에 조용히 자리한다.

"처음 (촬영을 하러) 갈 때는 일반 인터뷰 같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근데 가 보니 상황이 좀 다른 거예요. 할머니, 할아버지와 면접 조사를 하는 선생님(조사연구원)들과의 대화더라고요. 근데 그 대화를 지켜보면서 이 대화를 잘 전달하면 그것으로 충분하겠다는 확신이 들었어요. 거기에서 나오는 이야기가 굉장히 힘이 있었거든요. 할머니, 할아버지의 얼굴 표정과 제스처, (말하는) 톤에도 말이죠. 전달력이 굉장히 강했기 때문에 그걸 그대로 보여줄 때 사람들에게 객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영화가 원래 가지고 있는 그런 힘으로 말이죠."

영화의 주인공은 할머니들이지만, 한 명 한 명의 이야기를 이어주고 당시의 감정을 증폭하는 건 '제주의 자연'이다. 모든 것을 덮치고 휩쓸 듯이 한참 동안 높은 파도가 출렁이고, 폭우가 쏟아지고, 폭설이 닥치기도 한다. 카메라는 할머니들의 '그날'을 따라 제주의 곶자왈로 오름으로 한라산으로 이동한다.

김 감독은 "제주의 자연은 아름답지만 그 반대로 참 혹독하다는 생각을 많이 했던 것 같다"면서 "제주 자연을 통해 '4·3의 분위기를 만들어보고 싶다', 혹은 '전달하고 싶다'는 것이 제 계획 중에 하나였다"고 말했다.

'돌들이 말할 때까지' 스틸컷.

영화 제목 '돌들이 말할 때까지'는 김소연 시인의 시 제목을 빌렸다. 김 감독은 "시를 읽었을 때 와닿았던 게 4·3의 성격같이 느껴졌다"고 했다. 수십 년 동안 억압됐던 4·3이 지금에 와서는 말할 수 있는 역사가 됐지만,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은 것 같다"는 게 김 감독의 생각이다. 그는 4·3을 "앞으로도 계속, 어쩌면 영원히 말해져야 할 일"이라고 말한다.

아직 풀어놓지 않은 촬영분이 많다는 김 감독은 이미 또 다른 4·3 영화를 계획하고 있다. 그는 "현재 확정된 것은 한국전쟁을 겪은 4·3 수형인 영화를 하나 더 만드는 것"이라며 "할아버지들뿐만 아니라 할머니들이 함께 등장하는 얘기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영화 '돌들이 말할 때까지'는 오는 17일 전국 개봉을 앞두고 있다. 제주에선 같은 날부터 제주시 한림작은영화관에서 상영을 시작한다. 2013년 4·3 극영화 '지슬' 이후 11년 만에 전국에서 선보이는 4·3다큐멘터리 영화다. 제14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용감한 기러기상을 수상한 데 이어 아시아 최대 규모의 다큐멘터리 영화제인 제18회 야마가타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뉴 아시안 커런츠 부문에 공식 초청받기도 했다.

*이 기사는 지난 11일 CGV제주에서 열린 '돌들이 말할 때까지' 시사회의 감독과의 대화(진행 김동현 제주민예총 이사장)를 바탕으로 인터뷰 형식으로 작성됐습니다.

제주4·3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돌들이 말할 때까지'.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홈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61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