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 관광의 고물가와 바가지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업종별 권장가격 가이드라인이 도입될 전망이다. 지난해 '비계 삼겹살'에 이어 피서용품 바가지요금 논란과 올해 벚꽃축제 노점 음식점 순대 가격 논란 등 비싼 물가 문제에 대한 대안이다.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며 근본대책이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업종별 권장가격 가이드라인은 오영훈 지사가 그제 도의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밝히면서 표면 위로 떠올랐다. 오 지사는 답변에서 빅데이터 기반 관광 물가지수 개발 용역을 추진한 결과 제주의 관광 물가와 전국의 물가 상승추세는 유사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한 대책을 제시했다. 합리적인 가격 수준을 안내할 수 있는 권장가격 가이드라인 도입과 함께 관광불편 신고 센터를 통해 가격 불만신고가 빠르게 처리될 수 있는 체계를 이른 시일 내에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궁극적으론 관광 물가에 대한 소통 창구의 일원화 의지도 피력했다. 관련 부서와 기관의 후속대책이 본격화하고 있다.
제주도는 고비용·불친절 논란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 8일부터 주요 외식품목의 가격 개선에 나서고 있다. 이 지경에 이르도록 손 놓고 있다가 호들갑인지 아연실색할 따름이다. 틀에 박힌 진단과 처방은 무한 반복이고, 사후약방문의 사례는 넘쳐나고 있다. 뒷북 대응이지만 더 이상 나무라는 것 자체도 무의미하다. 오죽하면 도지사가 공식 석상에서 비싼 음식값을 거론하는가 하면 도의회 의사당에서 업종별 권장가격 가이드라인까지 제시하겠는가. 현재의 관광 위기를 체감하고 있는지부터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