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JDC와 함께 생각을 춤추게 하는 NIE] (5)영상리터러시

[2024 JDC와 함께 생각을 춤추게 하는 NIE] (5)영상리터러시
쏟아지는 콘텐츠 시대, 영상 올바르게 읽는 능력 중요
  • 입력 : 2024. 06.26(수) 04:00
  • 오소범 기자 sobo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검색, 뉴스, 책 등 다양한 매체 통해 배경지식 쌓기부터
단순 영상 소비 넘어 비판적 수용·제작 통해 생각 표현

[한라일보] 영상리터러시는 영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며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즉, 단순히 영상을 보는 것을 넘어서 그 안에 담긴 메시지와 의미를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 콘텐츠가 쏟아져 나오는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서 필수적인 역량이다. 그만큼 영상리터러시라는 용어는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됐다.

영상이라는 미디어는 아주 오래전부터 존재하고 있었지만, 우리는 아직도 영상을 읽어내는 능력이 부족하다. 영상 콘텐츠가 시대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아직 제대로 읽어내는 훈련이 되지 않은 것도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제작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읽어낼 수 있는지, 왜곡된 정보와 편향된 시각을 담고 있는 콘텐츠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지는 않은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영상 읽기는 단순히 영상 콘텐츠 자체를 읽어내는 능력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렵다. 영상이라는 매체의 특징 때문에 이것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정보의 한계가 분명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터넷 검색, 뉴스, 책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배경지식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영상 읽기를 잘한다는 것은 다양한 매체의 읽기를 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상을 올바르게 읽어내는 능력이 키워졌다면 영상 제작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 영상 제작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은 이런 창작 활동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타인의 영상을 분석하면서 이미지, 텍스트, 사운드가 어떤 기법으로 표현되었는지 참고할 필요가 있다. 레퍼런스 보드에 표현 기법과 참고 사항들을 정리해 자신의 창작물에 적용하는 활동은 제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레퍼런스 보드를 작성할 때는 교육적인 요소가 있는 콘텐츠만을 선택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교육적인 요소가 없더라도 학생들이 흥미가 있어 하는 영상이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에 교육적인 요소를 가미해 수업으로 풀어내면 된다.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영상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제를 제시해 볼 수 있다. 환경 보호나 인권 문제와 같은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유행하는 영상을 패러디한 영상을 제작해 보도록 하는 것이다. 단, 이 수업을 진행할 때는 원본 영상이 학생들에게 위험한 요소가 없는지 확인한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문제 해결을 위한 영상리터러시 수업

이 수업은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로 시작한다. 공신력 있는 기관 사이트, 뉴스, 영상, 책, 인터뷰, 설문조사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구조화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후 구조화된 내용을 바탕으로 토론을 진행한다. 비경쟁 토론으로 진행해 초기 아이디어에 생각을 더하는 활동으로 구체화된 문제 해결 방안을 도출해낸다. 이후 다양한 광고 영상을 시청한 후 메시지 표현법, 설득 전략 등을 분석하고 참고할 만한 사항들을 정리해 자신들의 영상을 기획한다. 기획한 내용으로 영상을 제작하고 시사회를 통해 동료들과 함께 피드백을 주고받는 시간을 가지면서 수업을 마무리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창작물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할 점을 찾아가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단순히 영상을 소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제를 통해 협업과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함께 기를 수 있다.

<김경화/미디어교육연구회 'ON'>

수업 이렇게 진행했어요

▷ 문제에 대한 이해

- 문제와 관련된 단어 뜻 알아보기

- 문제와 관련된 뉴스 기사 분석하기

- 설문조사, 인터뷰를 통해 정보 수집하기

▷ 해결 방안과 구체적인 행동

-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토론 진행하기

- 문제 해결 방안과 구체적인 내용 구성하기

- 사전부검 진행하기

▷ 영상 제작

- 영상 레퍼런스 보드 작성(다른 영상을 분석해 보고 적용할 부분 찾기)

- 영상 기획하기

- 영상 스토리보드 구성

- 영상 촬영 및 편집

▷ 영상 시사회

- 기획 의도 발표 및 영상 시청

- 피드백하기

- 소감 발표

▶수업 팁(Tip)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단어의 뜻부터 차근차근 알아가는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글에도 구성요소가 있듯이 영상의 구성요소가 있다. 이에 따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캔바의 magic media-그래픽-스타일(낙서)를 이용해 스토리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 AI이미지를 생성할 때 단순한 그림일수록 제작 시간이 단축된다.

-영상 제작에 시간이 부족하다면 편집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원테이크 영상을 제작한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홈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946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