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양문화 다변화 컨트롤타워 구축 '시급'

제주해양문화 다변화 컨트롤타워 구축 '시급'
도의회 제주해양산업발전포럼 해양문화 활성화 용역
해양문화교육 비전 없고 주먹구구식 운영 등 미흡
해양교육문화협의회 구성, 기본계획 수립 제안
  • 입력 : 2023. 12.01(금) 16:46  수정 : 2023. 12. 03(일) 14:11
  • 이태윤기자 lty9456@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제주해양문화에 대한 다변화를 전체적으로 이끌 컨트롤타워의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회 의원연구모임인 제주해양산업발전포럼(위원장 송창권)은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 활성화 기초 연구용역 최종보고서를 1일 공개했다.

이번 연구용역 일환으로 진행된 제주해양교육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양교육은 용어 정의에서부터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해양교육은 '해양수산발전 기본법' 의 기본이념에 근거하고 있기때문에 공존이나 보전보다는 개발중심적 관점에서 정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보전이나 공존을 강조하는 국제적인 트렌트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의 조례에서 해양교육문화 및 해양환경교육을 포용하는 통합적인 개념의 용어 정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해양문화와 관련해 현재 도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사업의 문제점으로 해양문화는 해녀문화 관련으로 편중돼 있고, 해양레저 분야는 천혜의 자연환경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해양레저와 해양문화 분야는 민간중심으로, 해양안전과 해양환경은 공공중심으로 사업지원 및 사업발굴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 제주도는 해양레저, 해양환경, 해양안전, 해양문화 등 특정분야에서도 이미지 선점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제주도는 해양문화교육에 대한 컨트롤타워와 비전이 없어 주먹구구식 운영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의 문제점은 상위계획인 '제주미래교육비전 2030'과 '2023년 제주교육 세부추진계획에도 해양교육에 대한 내용은 극히 제한적인 등 제주도 학교 해양교육이 지금까지 매우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제주 해양교육문화 활성화 방안으로 비전은 '지속가능한 제주바다를 위한 해양교육문화 강화'로 제시했고, 목표로는 해양교육센터(원) 건립 3개소와 해양교육문화 지구지정 2개소를 설정했다.

추진 전략으로는 행정, 전문가, 산업계, 사회단체, MZ세대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는 해양교육문화협의회를 구성토록 하고 제주도는 해양교육문화활성화 5개년 지역계획을 수립, 도 교육청은 제주해양교육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할 것을 제안했다.

송창권 대표의원은 “제주 해양교육문화 활성화를 위해 제주도 및 교육청 조례 개정을 통해 지역계획수립 의무화가 요구된다”면서 “제주도와 교육청을 통합한 (가칭)해양교육문화협의회 구성을 통해 해양교육센터 및 지구지정 등 지역 중심 특성화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제주바다를 위한 해양교육문화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해양산업발전포럼에는 송창권 위원장(대표), 양홍식 의원(부대표), 강연호 위원장, 강동우 의원, 김승준 의원, 현기종 의원, 하성용 의원, 양영식 의원, 김경학 의장으로 총 9명이 참여하고 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244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