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종합스포츠타운 상업시설 위주·안전성 우려 제기

제주종합스포츠타운 상업시설 위주·안전성 우려 제기
21일 제주도의회 임시회 문화관체육광위 제1차 회의
"특정 종목 독점·민자 유치 위한 상업 시설 위주" 우려
  • 입력 : 2025. 02.21(금) 13:26  수정 : 2025. 02. 21(금) 15:19
  • 강다혜기자 dh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제주도가 제주시 오라동 일대 제주종합경기장의 주요 시설을 허물고 '종합스포츠타운'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민자 유치'를 위한 상업 시설 위주의 시설로 구축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21일 열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435회 임시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박두화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이 사안을 도마에 올렸다.

앞서 제주도가 추진한 '제주 종합 스포츠타운 타당성·경제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결과, 조성을 위한 3가지 방안 중 하나로 축구경기장 등 각종 체육시설과 면세점, 쇼핑센터, 호텔 등의 복합 엔터테인먼트센터 조성 방안이 제안됐다. 두 번째 안으로는 스포츠 문화센터, 스포츠 도서관, 72객실의 호텔 등과 수영장, 보조경기장, 육상경기장 등을 조성하는 방안이 제안됐으며, 마지막 세 번째 안은 노후화 종합경기장, 체육관 등을 재건축하는 등 스포츠 기능만 살리는 방안이 나왔다.

이날 박 의원은 해당 용역 결과에 대해 "민자 유치를 위한 상업 시설 위주의 스포츠 타운형 체육 시설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또 "이 용역대로 경기장이 건설이 될 경우에 특정 종목(주요 경기장인 축구장)만 독점하는 형태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심이 든다"라는 의견을 제기했다.

답변에 나선 용역진 김민철 조선대학교 스포츠산업학과 교수는 "주경기장의 복합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센터는 여러 시설로 구성돼 있다. 생활 체육 공간인 수영장을 비롯해, 대규모 스포츠 컨벤션 센터가 2개 들어가 있다. 평소에는 생활체육으로 공간으로 쓰다가 스포츠 대회나 문화나 컨벤션, 전시에 필요한 복합 공간들을 조성할 복합 공간(으로 구상하고 있다)"이라고 답했다.

김 교수는 또 "주 경기장은 개폐식으로 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축구장이나 풋살장 등 다양한 스포츠 시설이 될 것이고, 대규모 콘서트를 유치해 수익 사업을 할 수 있는 것들로 마련했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지난 번 (서울) 잠실 경기장에서 인조 잔디가 아니라 천연 잔디이기 때문에 축구 경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는데, 제주에서 인조·천연 잔디 여부는 어떻게 되나"라고 물었다.

김 교수는 "총체적으로 이런 용역을 처음 봤다. 전체적으로 저희가 총 9번의 공식 회의와 발표를 했는데, 용역을 통해서 이렇게 많은 발표를 하고 많은 위원들을 모시고 이렇게 한 적은 없었다"라며 "이 과정에서, 천연 잔디는 1년에 20억 원의 유지 보수비가 들어가는데, 1000억 원 정도의 시설 유지보수비를 쓰고 있는 제주도의 체육 예산을 보면 상당히 무리가 되는 금액이기도 하다. 20억 원을 감당할 수 있는지가 궁금하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만약 천연 잔디를 깔면 제주 유나이티드가 한 번씩 와서 공식 경기를 할 수도 있고 국제 경기를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다양한 콘서트나 생활체육 중심이나 또는 수익 사업 중심으로 가서, 이 시설을 유지할 수 있는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쓴다면, 인조 잔디가 맞다고 생각한다"라고도 덧붙였다.

박 의원은 또 "종합 스포츠타운 내부에 실내 체육관, 지하 면세점, 축구 경기장 등 최다 인원이 밀집된 상태에서, 만일 대형 화재나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과연 빠른 시간 내에 대피할 수 있는지 의문인데 이런 내용은 (보고서에) 담겨 있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정확하게 고민했던 부분이다. 사실 저희 용역은 거기까지 다루는 실시설계 용역은 아니었다"라면서도 "터미널 부분 부지를 조금 더 추가 매입해서 부족한 주차장 시설을 건립하거나, 시설 면세점으로서 특정 시설을 유치하지는 않고 상업 시설이나 대기업을 유치하게 될텐데, 지상화시켜야 하는 부분이나 지하 주차장을 건립하지 못할 가능성 등도 고려했다. 주차장의 지상화가 안 된다고 하면 소방시설을 상주시키는 것들까지도 발표를 했었다"라고 답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15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