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조례 제정 5년 만에 '아동친화도시' 인증 첫 도전

제주 조례 제정 5년 만에 '아동친화도시' 인증 첫 도전
제주도 오는 30일까지 유니세프한국위에 인증 신청 접수
2019년 아동친화도시 조성 조례 제정 후 첫 공식 도전장
"1800여 명 대상 평가조사 완료"… 내년 1월쯤 결과 발표
  • 입력 : 2024. 06.25(화) 16:49  수정 : 2024. 06. 26(수) 17:29
  • 김지은기자 jieun@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도가 2019년 제정한 '아동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 일부.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가 아동친화도시 조성에 나선 지 5년 만에 첫 '공식 인증'에 도전하면서 실제 인증으로 이어질지 주목되고 있다.

25일 제주도에 따르면 UN 산하 기구인 유니세프한국위원회는 이달 30일까지 국내 지자체를 대상으로 유니세프아동친화도시(이하 아동친화도시) 인증 신청을 접수하고 있다. 이에 제주도는 이 기한까지 심의 자료 준비를 마쳐 최초 인증을 신청하기로 했다.

앞서 제주도는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2019년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같은 해 아동친화팀을 신설하는 움직임을 밟아왔다. 이듬해에는 유니세프한국위원회와 업무 협약을 맺고 '아동친화도시 조성 기본계획(2021~2025)'을 세우기도 했다. 하지만 담당 인력 부족, 사전 준비 한계 등으로 실제 인증까지는 지지부진했다. 제주도가 이달 안에 신청을 마무리하면 조례 제정 이후 첫 인증 신청이 되는 셈이다.

지난해에는 신규 인증 자체가 멈추면서 속도가 더 더뎌졌다. 유니세프한국위는 사전 예고를 거쳐 해당 기간 평가지표 등의 인증 업무 매뉴얼을 변경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제주도는 올해 새로운 기준에 맞춰 인증 신청을 준비해 왔다.

유니세프한국위에 제출할 '표준조사'도 마친 상태다. 이는 앞으로 4년간의 아동친화도시 조성 전략을 수립하는 근거가 되는 조사로, 지난달 8일부터 30일까지 진행돼 왔다. 조사에는 18세 미만 아동 1352명을 비롯해 부모, 학교 관계자 등 모두 1876명이 참여했으며, 이들은 유니세프가 정한 아동친화영역 6가지(놀이와 문화, 참여와 존중, 안전과 보호, 보건과 복지, 교육환경, 가정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도 관계자는 "표준조사는 우리 지역이 아동친화도시가 되려면 놀이터가 더 필요한지 도서관이 더 필요한 지처럼, 이런 부분까지 알 수 있는 기본 자료"라면서 "도내 아동의 관심과 학교의 도움으로 유니세프 권고 기준 인원(1541명)을 초과 달성했다"고 말했다.

인증 신청 결과는 내년 1월쯤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유니세프한국위는 6개월간의 심의, 보완 요구 등을 통해 신규 아동친화도시를 인증할 계획이다.

한편 아동친화도시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담긴 아동의 권리를 실현할 수 있는 행정체계와 제도를 갖춘 지역사회를 말한다. 국내에선 2013년 서울 성북구가 처음 인증된 데 이어 지난해 말 기준으로 91개 지자체가 인증을 받았다. 제주를 포함해 33개 지자체는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983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