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감귤재배 어떻게 바뀌나"… 6년만에 전수조사

"제주 감귤재배 어떻게 바뀌나"… 6년만에 전수조사
감귤재배실태관리시스템 등록 10만여 필지 대상
신규 조성, 폐원, 품종갱신 등 조사해 데이터 반영
도 "유통정책 수립, 수급조절 등 정책자료로 활용"
  • 입력 : 2023. 07.30(일) 09:41  수정 : 2023. 07. 31(월) 16:29
  • 강다혜기자 dh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도내 감귤 재배 농가. 한라일보 DB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는 감귤재배실태관리시스템에 등록된 10만여 전 필지(일부 동지역 제외)를 대상으로 3개월 간 폐원과원, 품종갱신 등 감귤 재배실태를 전수 조사한다고 30일 밝혔다.

조사는 지난 18일부터 시작됐으며 오는 10월 6일까지 진행된다.

감귤재배실태관리시스템은 2017년 농림축산식품부 팜맵, 통계청 육안판독 자료, 제주 통합 데이터베이스(DB), 공간정보 위성영상 레이어를 병합한 감귤통계정보 시스템이다.

감귤재배실태 조사는 감귤원 소재지 읍면동에서 과원별 위성사진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비교조사 및 농가 청취조사 등을 통해 감귤재배실태관리시스템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조사 대상은 신규 조성한 감귤원, 폐원과원, 품종갱신 필지와 함께 감귤재배실태관리시스템에 등록된 10만여 전필지이며, 이번에 조사하지 못한 일부 지역의 필지는 내년에 조사할 예정이다.

도는 이번 조사를 통해 2017년 감귤원 전수조사 이후 감귤원 필지 변동사항을 수정 입력하거나 삭제해 감귤통계의 정확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감귤 빅데이터를 보유한 감귤재배실태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고품질 감귤 적정생산과 유통정책 수립, 감귤 수급조절 등 각종 시책에 반영해 감귤 정책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를 위해 도는 청년 공공근로자 11명을 채용했다.

문경삼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제주감귤의 품질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감귤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감귤 재배실태조사 시 농가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22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