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가 조직 효율화차원에서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 전문연구조직인 제주지하수연구센터를 통·폐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논란이 예상된다.
제주자치도는 최근 제주연구원에 설치된 제주지하수연구센터와 제주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을 통합하는 방안을 협의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이유는 보건환경연구원이 추진하는 지하수 수질 검사·분석과 지하수연구센터의 기능 자체가 비슷한 만큼 조직의 효율성 차원에서 검토가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자치도는 지하수연구센터 조직을 그대로 보건환경연구원으로 옮기고 연구원들도 임기제로 채용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보건환경연구원의 지하수 수질 분석과 지하수연구센터의 지하수질 모니터링 업무의 지향점 자체가 다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하수 연구에서 수질분석은 수질오염뿐 아니라, 다양한 성분 분석을 통해 지하수 유동의 특성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영역으로 연구를 통한 정책 발굴과 대안 제시, 역사·문화 연구와 교육사업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지난 2010년 지하수센터 설립 당시 목적도 제주 생명수인 지하수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백년대계의 정책개발 뿐만 아니라 현실에 꼭 필요한 정책과 연구가 적기에 추진하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오히려 보건환경연구원의 오염 분석과 성분 분석 기능으로 지하수연구센터의 정책 기능을 지원하고 별도 독립적 법인화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제주자치도가 거꾸로 가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지하수연구센터가 보건환경연구원과 통·폐합될 경우 도정의 입맛에 맞는 정책을 남발하면서 지속적인 지하수 정책 입안이 어려울 수도 있어 정책 기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까지도 나오고 있다.
실제 제주지하수연구센터의 모델인 하와이는 이미 1964년부터 대학 내 수자원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미국 지질조사국 하와이 사무소는 1800년대부터 기초 조사를 통해 관련 자료를 축적해 전문가적 입장에서 관련 정책을 제안하고 있기도 하다.
도내 지하수 관련 학계 관계자는 "기후위기로 지하수 환경변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하수연구센터의 내실을 키우기는 커녕 오히려 도지사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대안만 남발할 수 있다"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제주자치도의회 정민구 환경도시위원회장은 "의회에서 보건환경연구원의 지하수 관련 기능으로 지하수연구센터를 지원하거나 센터에 이전하는 방안을 찾아보라고 지적했지만 현재 제주자치도가 추진하는 방향은 정반대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