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JDC와 함께 생각을 춤추게 하는 NIE] (4)광고리터러시

[2024 JDC와 함께 생각을 춤추게 하는 NIE] (4)광고리터러시
넘쳐나는 광고 미디어 콘텐츠… 소비자의 능동적 역할 주목
  • 입력 : 2024. 06.19(수) 00:00
  • 송문혁 기자 smhg1218@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광고 정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평가, 활용 능력 중요
광고·비광고 콘텐츠 구별하고 비판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라일보] 빠르게 변화하고 진화하는 광고를 접하면서 우리에게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것은 우리 일상과 뗄 수 없는 광고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를 올바로 이해하고, 평가하며, 활용하는 능력, 즉 광고리터러시다.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광고의 양이 증가하고 방식이 다양화되면서 광고를 회피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을 고려해 광고 메시지의 설득력과 효과를 높이는 이른바 '광고 같지 않은 광고'들이 늘고 있다. 다양한 브랜디드 콘텐츠가 방송, 영화, 게임, 웹툰 등과 융합해 광고 같지 않은 광고의 모습으로 하나의 작품으로도 완성되어져 소비자들에게 다가간다. 문제는 이와 같은 변화가 소비자들이 광고를 구별하고 인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는 데 있다.

광고리터러시가 갖춰졌을 때 즉 광고와 비광고 콘텐츠를 구별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해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때 광고를 제대로 이해할 뿐 아니라 광고 내용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분석·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은 설득지식모델(Persuasion Knowledge Model)이론에 의해 설명된다.(Friestad & Wright, 1994)

허위광고의 기술도 점점 더 교묘해져서 신문기사 형식의 과대 광고, 연예인 등 유명인 딥페이크를 활용한 허위조작광고 등을 통한 피해 사례가 넘치고 또 넘치는 요즘이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상황에서 광고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 평가,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어느 때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광고리터러시에 대한 관심과 정책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결론적으로,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능동적인 소비자의 역할을 인정하면서 광고에 대한 단순한 이해와 인지를 넘어서서 광고 정보에 대한 가치 평가, 문제 발생 시 대처능력, 기술적 조작능력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광고리터러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광고리터러시' 수업은 ▷1단계: 광고의 개념, 역사, 종류 등 광고란 무엇인지에 대해 배운 뒤 광고의 기능과 역기능을 파악하고 문제적 광고를 창의적으로 바꿔보는 등 광고를 분석해 광고에 사용된 다양한 기법을 알아보며 제작 의도를 찾아내기 위해 비판적으로 광고를 읽어보고 이해하는 단계 ▷2단계: 광고 속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글을 쓰고 광고를 만드는 다양한 직업에 대해 알아본 뒤 공익광고의 종류와 기능 및 패러디를 배우며 광고를 탐색하는 단계 ▷3단계: 음성 광고와 영상 광고를 만들고 발표도 하면서 기획, 스토리보드 작성, 녹음 또는 촬영을 제작 과정별로 경험하며 공익광고를 완성하고, 자율심의기준을 만들어 기준에 따라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상호평가하는 창작 단계로 진행한다. <이현화/미디어교육연구회 'ON'>



수업 이렇게 진행했어요

▷광고의 기본

-광고의 개념과 역사, 기능과 역기능 알아보기

-내가 최근 재미있게 본 광고 찾아보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광고 찾아보기

-광고의 다양한 형태 이해하기

▷광고 탐색 및 비판적 분석

-광고가 담고 있는 가치관 탐색하기

-시대를 담은 광고 속 메시지 찾기

-광고의 숨은 목적, 의도 찾기

-광고의 다양한 설득 전략 찾기

-광고에 담긴 트렌드 찾고 비평문 써보기

▷광고 제작

-광고 기획 및 스토리보드 만들기

-광고 제작과정 파악하기

-광고의 형태 이해하고 내가 만드는 광고 형태 정하기

-기후 변화 공익광고 제작하기

▷광고 상영회

-광고 심의기준 살펴보기

-광고 상영 후 상호평가하기

▶수업 팁(Tip)

-다양한 형태의 광고를 함께 찾아본 후 활동을 하면 좋아요.

-광고의 좋은 기능과 역기능을 함께 생각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광고에 담긴 메시지가 시대별로 어떻게 다르게 전달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야기 하는 것만으로도 흥미로울 수 있어요.

-광고에 사용하는 다양한 설득 전략을 이해하고 찾아보세요.

-광고를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광고 관련 직업도 살펴봐 주세요.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홈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33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