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교육 우선 해결 과제? "학교폭력·인터넷 중독 예방"

제주교육 우선 해결 과제? "학교폭력·인터넷 중독 예방"
제주도교육청, 2024 교육 정책 수립 위한 도민 여론 조사 결과
현 정책 만족도 인성교육 활성화·학력 향상 순 응답 비율 높아
해결 과제에 사교육비 경감, 교육복지·초등돌봄 확대도 상위권
  • 입력 : 2023. 08.11(금) 16:03  수정 : 2023. 08. 14(월) 16:29
  •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제주도민들은 제주교육의 해결 과제로 다수가 학교폭력·인터넷 중독 등에 대한 예방을 꼽았다.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제주교육의 과제로는 인성교육을 가장 많이 택했다. 이는 제주도교육청이 ㈜리얼미터에 의뢰해 7월 5~18일 만 19세 이상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 제주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여론 조사 결과다.

11일 발표한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도교육청이 실시하는 정책 중 만족도가 높은 것(복수 응답)으로는 자연과 독서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31.3%)를 선택한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기초학력지원센터와 학습종합클리닉센터를 통한 학력 향상(22.6%), 다목적 체육관과 도서관 신축을 통한 안전한 학교 환경 시설 개선(21.8%), 초등학교 통학 버스 임차비, 중·고등학생 통학비 지원을 통한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21.5%), 중학교 1학년 스마트 기기 지원을 통한 디지털교육 강화(19.3%), 제주형 자율학교 다변화를 통한 제주형 학교모델 확산(13.7%), 특수학교 분교 설립을 통한 특수교육 여건 개선(13.7%), 찾아가는 교육감실과 미래교육소통위원회를 통한 소통 강화(10.9%), 과대·과밀학교 학급당 학생 수 감소(10.4%) 순이었다.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제주교육의 과제(복수 응답)는 인성교육(73.2%), 독서·인문교육(27.5%), 기초·기본학력(23.5%), 생태·환경교육(18.0%), 수학·과학·정보교육(16.9%), 문화·예술·체육교육(13.4%), 외국어교육(12.8%), 진로·직업교육(8.7%)을 차례로 들었다. 1순위만 별도로 집계해도 인성교육이 69.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디지털교육의 추진 과제(복수 응답)에서는 사이버 중독 예방교육과 인터넷 예절교육이 52.9%로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나타냈다. 그다음으로 인터넷 등 매체의 선택적 수용을 위한 비판적 사고력(31.5%), 컴퓨터 활용 능력 강화(27.9%),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교육 활성화(26.4%), 교원의 역량 강화(20.4%) 등의 응답이 많았다.

제주도교육청이 더 관심을 갖고 추진해야 할 정책 분야를 묻는 질문에 학교폭력 예방과 도박·마약·인터넷 중독 예방이라고 답한 도민은 55.6%로, 응답자의 절반 이상에 달했다. 한라일보 DB

앞으로 도교육청에서 더욱 관심을 갖고 추진해야 할 정책 분야를 묻는 제주교육의 해결 과제(복수 응답, 1~3순위 종합)로는 학교폭력 예방과 도박·마약·인터넷 중독 예방이라고 답한 도민이 55.6%였다. 이어 공교육 강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40.4%), 무상급식, 통학비 지원 등 교육복지의 확대(38.5%), 초등돌봄교실 확대(32.8%), 다문화·특수·정서 위기 학생 등 사회적 약자 계층 지원 강화(27.1%),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24.4%), 과대·과밀학교의 학급당 학생 수 감축(16.0%), 학생의 요구를 충족하는 학교 선택권 강화(15.2%), 비만 줄이기 등 건강하고 안전한 학교 만들기(14.5%), 학교 체육관·건물 등 학교 시설 환경 개선(13.7%) 순으로 집계됐다.

이를 1순위만 따로 떼어놓고 보면 교육복지의 확대(35.4%), 초등돌봄교실 확대(18.7%), 사교육비 경감(15.6%) 순으로 두 자릿수 응답률이 나왔다. 지역별로 보면 교육복지의 확대는 서귀포시 읍면, 초등돌봄교실 확대는 제주시 읍면, 사교육비 경감은 서귀포시 읍면에서 각각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와 함께 제주교육자치 활성화를 위해 우선 추진할 분야(복수 응답)는 안정적 교육재정 확충과 재정 운영에 자율성·책무성 확보(50.9%), 제주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50.7%), 학교 현장 지원 강화로 학교 운영의 자율성 확대(49.5%)가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다.

도교육청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제주교육에 대한 도민들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 조사는 전화 면접과 온라인 혼용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95% 신뢰 수준에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11.3%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21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