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바다 뒤덮은 정체불명 물질… 긴급 합동조사

제주 바다 뒤덮은 정체불명 물질… 긴급 합동조사
육상과 맞닿은 지점부터 바다 쪽 200여m 해상까지 흰색 범벅
19일 첫 발견 "주민들 살면서 이런 현상 처음 봐" 원인 미궁
  • 입력 : 2023. 06.22(목) 17:35  수정 : 2023. 06. 25(일) 20:25
  •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시 구좌읍 김녕항 일대 바다가 속을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뿌옇게 변해있다. 사진은 제주시가 지난 20일 현장 조사 때 찍은 김녕항 해상 모습. 제주시 제공

제주시 김녕항 인근 연안(육지와 맞닿은 바다)에서 정체불명 흰색 물질이 대규모로 발견돼 관계당국이 긴급 합동 조사에 착수했다. 일부 주민들은 김녕항 바로 옆에 있는 하수중계펌프장에서 하수가 유출된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지만 당국은 그런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며 유출 사고 가능성을 일축했다.

22일 찾은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김녕항 앞바다. 이 일대 해상이 온통 흰색 물질로 뒤덮여 제 색깔을 잃었다. 정체불명의 흰색 물질은 육상과 맞닿은 지점에서 바다 쪽까지 200m 넘게 대규모로 형성돼 있었다. 김녕항 해상과 맞닿은 육상에는 이 일대 하수를 한데 모아 월정리 동부하수처리장으로 보내는 '서김녕 중계펌프장'과 빗물을 모아 바다로 방류하는 우수관 2개가 시설돼 있다.

정체불명 흰색 물질은 지난 19일 오전 9시쯤 주민들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이날 제주시 상하수도과가 주민 신고를 받고 첫 현장 조사를 벌인데 이어, 이튿날에는 제주시 해양수산과와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이 합동 조사를 진행했다.

당시에는 탁도가 더 심했다고 한다. 조사 이틀째인 지난 20일 제주시가 찍은 사진을 보면 수심이 성인 무릎 높이에 불과할 만큼 얕은데도, 탁도가 워낙 심해 바닷속을 분간하기 힘들다.

22일 찾은 제주시 구좌읍 김녕항 인근 바다. 원인미상 흰색 물질이 최초 발견된 지난 20일에 비해 탁도는 개선됐지만 여전히 희뿌옇다. 이상국 기자

주민들은 이런 현상을 처음 본다고 입을 모았다. 한재병(80·제주시 김녕리)씨는 "80평생 이 마을에 살았지만 바다가 이렇게 하얗게 변한 것을 본적이 없다"며 "중계펌프장에서 하수가 유출되면서 빚어진 현상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근처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A씨는 "종종 바다에 소량의 부유물질이 있는 것은 봤지만 이렇게 많은 양의 흰색 물질이 바다에 떠다니는 것은 처음 본다"고 했다.

시는 일부 주민들이 원인으로 의심한 중계펌프장에 대해서도 조사했지만 하수 유출 흔적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했다. 시 상하수도과 관계자는 "만약 하수가 바다로 유출됐다면 흰색이 아니라 검은색을 띠었을 것"이라며 "하수 유출 사고 가능성은 없다"고 전했다. 또 근처에 시설된 우수관 2개에 대한 조사에서도 정체불명의 물질이 방류된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현재로선 원인 불명으로 남아있다.

다만 시는 현장 조사에서 폐사한 동식물이 없는 점을 미뤄볼 때, 이 흰색 물질이 유독성 화학물질은 아닌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제주시 공무원이 지난 20일 김녕항 인근 바다에 대한 현장 조사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모습. 제주시 제공

시는 김녕항 해상에서 시료를 채취해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에 성분 분석을 의뢰했다. 또 해양수산연구원은 다량의 흰색 물질이 주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조만간 수중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성분 분석 결과는 다음주 쯤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우선 그 결과를 보고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2 개)
이         름 이   메   일
715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몽생이 2023.06.23 (10:32:36)삭제
아마 저게 여름철로 접어들면서 뻘과 해조류가 부패되면서 빗물과 혼합되는 현상이 아니련지요 저도 어릴적에 물이 잘흐르지 않은곳에서 저런현상 목격했던 기억이나요
도민 2023.06.22 (18:48:05)삭제
바당엔 핵 오염수,,땅엔 똥물이 넘친다ㅋㅋㅋㅋ 제주지하수는 생명수입니다.. ..2공항 주변 150여개 숨골이있다 숨골하나면... 내창 하나와 같다 숨고의 가치를 생각해라 ㅡ도로가 물로 막히면 물이 도로에서 내려오는데 잘 빠져나간다 ㅡ어디로 빠저 나가냐...숨골이다 ㅡ성산 초딩이면 알고 있는.왜 몰라?? ㅡ2공항은 환경 파괴다 2공항 여론조사 ㅡ한국갤럽의 조사에서는 찬성 44.1%-반대 47.0%로, ㅡ엠브레인퍼블릭 조사에서는 찬성 43.8%-반대 51.1%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