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피니언
[열린마당] 도민의 무관심 속 사라져가는 제주 용천수
강민성 기자 kms6510@ihalla.com
입력 : 2020. 12.08. 00:00:00
상수도가 없던 시절 도민에게 용천수는 단순히 식수로서 뿐만 아니라 목욕이나 빨래 등 생활과 밀접하게 사용됐고, 자연스럽게 용천수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됐다.

제주도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99년 당시 용천수가 1025곳으로 조사됐으나, 2013~2014년 조사에선 661곳만이 확인됐다. 매립되거나 멸실된 용천수가 270곳이고, 확인할 수 없는 용천수가 94곳이었다. 조사된 용천수 661곳 중에서도 보존 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수량이 부족해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곳도 있었다. 용천수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611곳 중 199개소는 이용되고 있으나 나머지 70%(462곳)는 이용되지 않는 상태였다.

개인당 물 사용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한 생활하수 발생량 증가,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 오염물질의 유입 통로가 되는 허술한 지하수공, 정화시설을 갖추지 않은 불법 축산폐수 배출, 비료와 농약의 과다한 사용이 용천수의 보전.관리의 위협요소이다.

용천수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관리방안이 미흡한 실태이다. 예로부터 생명수였던 용천수를 보호하기 위해 용천수가 솟아나는 장소에는 반드시 돌담을 쌓아 올려서 가축의 출입을 막거나 또는 주변부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히 보호했다. 하지만 1953년 상수도의 보급이 진행되고 용천수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이 줄어들고 관리가 소홀해졌다. 특히 마을에서 용천수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인공 시설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원형을 훼손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깨끗한 수질의 제주 용천수는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열쇠이다. 도민들의 애정어린 관심으로 제주의 소중한 자산 용천수를 되살려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행정에서의 제주의 수자원 용천수의 전문적인 보호.이용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고, 더 이상 지체돼서는 안된다. <이창석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